h3 제목
<h3> 내용입력 </h3>
h4 제목
<h4> 내용입력 </h4>
h5 제목
<h5> 내용입력 </h5>
p 일반문단
그냥 엔터
kbd 키보드
<kbd> 내용입력 </kbd>
앞뒤를 감싸는 <p>와 </p>는 삭제해야 같은 줄에 내용이 입력된다.
code 코드
<code> 내용입력 </code>
앞뒤를 감싸는 <p>와 </p>는 삭제해야 같은 줄에 내용이 입력된다.
mark 마커
<mark> 내용입력 </mark>
앞뒤를 감싸는 <p>와 </p>는 삭제해야 같은 줄에 내용이 입력된다.
blockquote 인용구
<blockquote> 내용입력 </blockquote>
순서없는 목록
- HTML
- CSS
- Javascript
- jQuery
- jQuery 1.9.x
- jQuery 2.x
- REACT
- jQuery
순서있는 목록
- HTML
- CSS
- Javascript
- jQuery
- jQuery 1.9.x
- jQuery 2.x
- REACT
- jQuery
alert alert-modern 경보-모던
<div class="alert alert-modern"> 내용입력 </div>
alert alert-info 경보-정보
<div class="alert alert-info"> 내용입력 </div>
alert alert-warning 경보-주의
<div class="alert alert-warning"> 내용입력 </div>
alert alert-danger 경보-위험
<div class="alert alert-danger"> 내용입력 </div>
alert alert-success 경보-성공
<div class="alert alert-success"> 내용입력 </div>
<div class="link-refer"> 내용입력 </div>
h3 참고 문헌 및 관련링크
ol
li a 링크 1
li a 링크 2
li a 링크 3
파일첨부
티스토리에는 기본적으로 첨부파일의 파일 형식에 대한 각각의 이미지가 지정되어 있다. 이 디자인을 하나로 통일하고 버튼형으로 디자인이 가능하다.
각주
한글은 1443년(세종25년) 훈민정음 28자를 연구·창제하고 3년 동안 다듬고 실제로 써본 후, 1446년 음력 9월에 이를 반포하면서 조선 세종은 『훈민정음 해례본(訓民正音 解例本)』을 통하여 문자와 천지인을 바탕으로 하는 음양오행의 관계를 설명하였다. 1
한글은 1443년(세종25년) 훈민정음 28자를 연구·창제하고 3년 동안 다듬고 실제로 써본 후, 1446년 음력 9월에 이를 반포하면서 조선 세종은 『훈민정음 해례본(訓民正音 解例本)』을 통하여 문자와 천지인을 바탕으로 하는 음양오행의 관계를 설명하였다. 2
HOMECCZ-CROSS
REPO준비중
DEMOCCZ-CROSS 데모보기
반응형
댓글